1월 9일 교육부는 초등 늘봄학교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올해 4개 안팎의 시, 도교육청을 선정해 초등학교 200곳으로 시범운영을 계획하고 있다. 내년에는 시범교육청을 8개로 늘리고 2025년도에는 전국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전국 초등학교 돌봄 운영시간이 기존 수업 12시 정도에 점심 먹고 끝났던 1학년은 돌봄 신청할 경우 2025년 3월 초부터 맞춤형 에듀케어 프로그램을 무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며 돌봄 교실 운영시간이 오후 8시까지 확대된다.
틈새 돌봄, 일시 돌봄 시범운영
- 틈새 돌봄 운영 : 주로 오후 5시까지 제공되던 돌봄 서비스를 오전 7시~9시 아침 돌봄과 오후 8시까지인 저녁 돌봄 등으로 확대된다.
- 일시 돌봄 운영 : 급한 사정으로 저녁 돌봄이 필요한 경우 전날 신청을 하면 하루나 일정 기간 돌봄 교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오후 5시 이후 긴급하게 돌봄이 필요한 학생은 일시 돌봄 이용이 가능하다.
에듀케어 프로그램 도입
초등학교 1학년은 어린이집보다 하교 시간이 빠른데 방과 후 프로그램은 3월 말에 시작하는 경우가 많아 학부모들의 걱정이 많았는데 이런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1학년 발달 단계에 맞춰서 놀이, 체험 중심으로 운영되는 에듀케어 프로그램이 무상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에듀케어 프로그램은 정규 수업 후 교실에서 놀이 체육, 요리교실, 민속놀이, 보드게임 등 놀이 체험 중심으로 운영하며 고학년의 경우 인공지능, 코딩, 빅데이터 등 신산업분야 방과 후 프로그램을 집중적으로 개설할 방침이다.
돌봄 제공에 더해 석식, 간식제공과 저녁 프로그램 운영 및 안전 관리 강화 등을 통해서 돌봄 서비스의 질을 강화할 것이라고 한다.
거점형 돌봄 모델 확대
거점형 돌봄 모델은 학교 내외 가용공간에 거점을 구축하고 인근 학교 학생들을 모아 돌봄을 제공하는 방식을 말하며 현재 경남지역에서 2곳이 운영되고 있다.
모든 지역에서 같은 돌봄 대기 수요가 있는 게 아니므로 주로 신도시 쪽에서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 현상을 해결하겠다는 방침으로 거점형 돌봄 모델을 25곳까지 확대하여 대기 수요 가운데 1만 2천여 명 정도를 감당하겠다고 밝혔다. 이 모델이 확산하면 저학년은 학교 내에서 돌봄을 받고 고학년은 셔틀버스를 타고 나가 회부에서 돌봄과 방과 후 프로그램을 듣는 방식이 정착될 것으로 보인다. 거점형 돌봄으로 돌봄과 방과 후 프로그램을 새로 이용할 수 있는 인원은 약 1만 2000명가량으로 추정된다.
댓글